블로그 이미지
fivevirtue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16)
프라라이프 (46)
번역실 (26)
네타극장 (58)
임시 보관함 (0)
공지사항 (0)
신변잡기 (41)
3D 프린터 (38)
프로젝트 스카우트 (4)
pc관리 (2)
Total
Today
Yesterday

3D프린터하는 사람들이 없으면 진짜 가지고 싶은데 있으면 별로 쓸모가 없는것 no1인 듀얼 프린터.

없는 쪽이였던 나도 드디어 있는 쪽이 되었다.


개인적으로 듀얼에 도전은 꽤나 역사가 길다.

최초는 np멘델은 듀얼로 개조하기로 시도한것. 스타봇핫엔드가 np멘델과 호환되는것을 알고 스타봇부품을 사서 핫엔드를 두개 달았다. 결과적으로 시험출력을 하는 것에서 만족하고 원상복구 시킬수 밖에 없었다.

당시 에어리플이라는 압출기를 출력해서 만들었는데 보우덴을 돌리기에 힘이 별로 안좋고 압출기를 놓을 곳이 마땅치 않아서 책상에 매달아 둔 상황. 출력물로 만든 핫마운트는 상태도 영 좋지 않았고 거대해서 안그래도 그닥 크지 않는 출력범위를 왕창 깍아 먹음.

np멘델 개조에 한계를 느껴서 도전은 접어두었지만 hevo를 만들면서 다시 시도하게 되었고 이번에는 Y-split방식으로 시도하였다. 압출기 두개의 필라멘트를 넣을 수 있게 압출기에 Y형부품을 끼우는 방식으로 보우덴 방식의 프린터라면 Y형 부품과 압출기 하나만 추가하면 되는 부담이 적은 방식이다.

이것은 결국 반복적으로 압출불량이 발생해서 실제 출력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고 포기하게 되었다. 어느정도 진행되다가 막혀서 확인해보니 필라멘트를 당겨서 Y부품 뒤로 밀때 깔끔하게 나오지 않고 미세한 실같은게 생기는데 처음에는 상관이 없지만 반복되면서 이것이 점점 늘어나서 압출불량을 일으켰다. 세팅이나 필라멘트에 따라 괜찮을 수도 있겠지만 해결을 포기하고 이방식도 손을 놓게된다.

정말로 하고 싶은 방식은 툴체인지나 듀얼x카트리지 방식이지만 툴체인지는 기술,자금이 가시권 밖이다. 

듀얼x카트리지는 겐트리방식(푸루사 스타일)의 상당히 대형이 아니면 어렵다는 결론이라 겐트리방식이나 너무 대형은 피하려는 입장에서는 맞지가 않는다.

그래서 현실타협으로 키메라가 되었다. 사이클롭스도 있지만 Y-split이랑 비슷한 방식이라 이번은 다른 방식으로 가기로 했다.

내써팝에서 구매를 하려고 보니까 상품이 사라졌다! 유행이 지나서 더 안들여 놓는 모양이다. 

그리하여 알리에서 구매. 싼거는 핫엔드를 접착해놔서 분리가 불가능하다고 하고 트라이앵글랩은 좀 가격이 세고 sw라는데서 샀다. 센서가 pt100이라는데 뭔가 좋은거겠지 하고 샀는데 받아서 돌려보니 옥도값이 괴상하게 나옴. 알고보니 ramps1.4에서는 사용할수가 없는 거였다. 사용하려면 추가보드가 있어야되는데 이게 오천원. 두개니까 만원...

다행이 내써팝에서 ntc1000에 케이싱을 해서 겉모양은 비슷한 것을 팔아서 그걸로 대체했다. 

그리하여 첫출력.

x축이 약간 튀어나옴. 어째선지 y축도 미세하게 어긋남. 오프셋은  (17.8, -0.3)으로 결정

전부터 뽑고 싶었던 2칼라 지구본 출력.

그런데 2번노즐이 출력물을 자꾸 치더니 결국 중간에 떨어져 나갔다. 브림이라도 써야 했는데.

모델을 잘라서 위쪽만 출력. 그런데 사진상에서는 잘 안보이지만 커팅을 잘못해서 땅/바다가 좀 안맞음. 

첨에는 오프셋 잘못맞춘줄 알았다.

똥방지실드(오즈실드)를 쳤음에도 일부분에서 섞임이 나왔다. 중간에 2번 노즐이 하도쳐서 실드가 떨어진 탓도 있을듯.

마땅한 용기가 없어서 콜라병 잘라서 훈증.

거의 24시간 경과한 결과물. 위쪽만 보고 안되네라고 생각했는데 꺼내보니 아래쪽은 과도하게 녹음.

날이 추워서 그런가 아세톤이 오래되서 그런가 모르겠다. 암튼 좀 위험해도 뎁혀서 빨리 끝내는게 나을듯.

오즈실드가 실망스러워서 그냥 한번 뽑아보았다.

그까이거 사포질 좀 하면 되지라고 생각했으나... 저게 표면만 저런게 아니였다. 

파내서 매우거나 도색을 하자니 그럴려면 듀얼로 뽑을 이유가 있나 싶고...

가만히 생각을 해보니 결국 노즐 높이 문제인듯하다. 1번 노즐의 파랑색은 2번 노즐에 비하면 극히 양호한 편이다. 2번 노즐이 낮기 때문에 1번 노즐이 만든 벽을 뚫고 길을 만드는듯 싶다.

결국 노즐높이를 다시 잡아줘야 한다는 결론이다. 별다른 도구없이 종이 한장 차이도 안나는 노즐 높이를 맞춰야 한다니 상당한 고역이다.

이 문제가 불가피하다면 노즐사이 간격이 넗은게 차라리 나을수도 있겠다 싶다. 노즐 하나가 프린팅하는 동안 나머지 하나가 그 영역에 들어와서 생기는 문제이기 때문에.


튜닝하면서 좀 더 지켜봐야 될것 같지만 일단 작동하는 듀얼 3D프린터 확보.

'3D 프린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 세팅잡기  (0) 2018.11.26
HEVO와 CURA와 베이비그루트  (0) 2018.11.22
옥토파이 설치  (0) 2018.11.13
3DM flexible pla  (0) 2018.11.07
저렴이 자석베드 후기 + 근황  (0) 2018.11.03
Posted by fivevirtue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